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약 유통기한 체크해보셔야 합니다

아마 많은분들이 병원을 방문하신후에 약을 처방 받게되는경우 가루보다는 알약을 선호하시는분들이 많은데요.

당연히 잘 삼켜지지도않고 쓴맛을 느끼는것 보다는 그냥 물로 삼키는것이 더욱 편하기에 선호하는것이 사실인데요.

문제는 처방받은 날짜를 지키지못하고 남겨뒀다가 나중에 비슷한 증상일때 생각이 나서 먹게되는 경우라 할수있습니다.


알약 유통기한

문제가 되는경우라고 하면 역시나 나중에 비슷한 증상이 있을때 남은 알약들을 섭취하는 경우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걱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인데요.

하지만 알고넘어가야할것이 일반 가루약이나 알약의 경우 유통기한이라는것이 지나게되면 못먹게되는 물건이 아니라 약의 효능이 떨어진다는것입니다.

기존의 100%였던 효율이 90%미만이 되는날을 유통기한이라고 하는것이기 때문에 먹게되서 문제될것은 없다고 알아두시면 될것 같습니다.

단. 개봉되어있었거나 외부 나쁜 환경에 노출이 되어있었던 경우는 제외되니 꼭 확인을 해주시는것이 중요합니다.

알약 유통기한

보통 기한을 알아보려면 두가지 상황으로 나눌수가 있는데 바로 개봉이 되어있느냐 안되어있느냐로 확인을 할수가 있습니다.

1. 개봉이 되어있는 경우

-> 개봉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아마도 겉봉지나 혹은 표면에 따로 정해진 유통기한이 있으니 체크를 해보시면 됩니다.

2. 개봉이 되어있지 않은경우

-> 이경우에는 확인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보통 개봉이 되고 6개월 이내에 약을 드시는것이 좋으니 꼭꼭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보통은 위와같이 포장이 되어있는것이 일반적인데  낱개로 포장되어있는것이 아닌 통속에 여러개의 약이 들어있는 경우가 조금은 문제라고 할수가있는데요.

보통 뚜껑을 열어놓는 경우도 있고 혹은 나중에 먹으려고 밖으로 내놓았다가 깜빡하는 경우도있기 때문에 이렇게 알약 유통기한 체크를 해보라는 것입니다.

또한 중요하게 체크해야할 부분이 주변 환경이라고도 할수가있는데 습기가 많거나, 직사광선을 정통으로 쐬고있는 경우에는 약의 효능이 좀더 빨리 떨어질수도있다고 하니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알약 유통기한

간단하게 알약 유통기한에 대해서 알아보게 되었는데요.

대부분의 약들은 처방을 받고 그 기일내에 먹는것이 가장 중요하니 보관을 잘해두시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처방받은 약들의 경우는 일단 기간이 지나면 그냥 버리시는게 아마 좋지않을까요?...